1. 교육의 어원적 정의
교육의 어원적 정의는 동양, 서양, 한국으로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동양에서 교육(敎育)은 맹자(孟子)의 진심편(盡心章) 상편(上篇)에 처음 등장한다. 맹자는 군자의 3가지 즐거움으로 군자유삼락(君子有三樂)을 이야기했는데 그 중 “득천하영재 이교육지 삼락야(得天下英才 而敎育之 三樂也)”에서 교육이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교육(敎育)은 가르칠 교(敎)와 기를 육(育)으로 이루어져 있고 敎의 어원을 뜯어서 살펴보면 효(孝)를 중심에 두고 인간의 선행을 가르치고, 깨닫도록 하고, 실천하도록 이끌며, 부모나 교사가 솔선수범하여 본받게 한다는 뜻이다. 두 번째 서양에서는 영어표현 ’Education‘과 ’Pedagogy‘의 어원을 살펴보면 서양에서 교육을 어떻게 생각해왔는지 짐작할 수 있다. 먼저 ‘education’은 동사원형인 ‘educate’가 라틴어의 ‘educare’에서 유래되었다. ‘educare’은 밖으로라는 의미의 ‘e’와 이끌어내다라는 의미의 ‘ducare’가 결합되어 ‘밖으로 이끌어 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pedagogy’는 그리스어의 파이다고고스[paidagogos]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어린이’를 의미하는 paidos와 ‘이끈다’는 의미의 agogos가 합쳐져서 ‘어린이를 이끌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가르치다’는 고어 ‘ᄀᆞᄅᆞ치다’에서 출발하였다. 가르치다는 ‘말하다, 이르다’라는 의미를 가진 ‘가르다’라는 동사와 ‘유용하고 쓸모 있게 만들다’라는 의미의 ‘치다’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단어이다.
2. 교육의 비유적 정의
교육의 비유적 정의는 교육학 논술에서 활용도가 높기 때문에 임용고시를 준비한다면 꼭 알아두는 게 좋다. 교육의 비유적 정의는 주형의 비유, 성장의 비유를 비롯해 예술, 성년식, 만남으로 비유하는 대안적 비유가 있다. 첫 번째 주형의 비유는 가장 오래되고 광범위한 비유로 전통적이고 상식적인 교육관을 반영한다. 교육을 “장인(교사)가 쇳물(학생)을 일정한 모양의 틀에 부어 어떤 모양을 만들어 내는 일”로 이해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런 비유는 교육의 주체를 교사로 보고 있으며 교사-학생 관계에서 잘못된 권위주의 빠지거나 도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두 번째 성장의 비유는 아동 중심 교육을 주장하는 미국의 진보주의(progressivism) 교육관과 결을 같이한다. ‘아동은 식물’ ‘교사는 식물을 가꾸는 정원사’에 비유하여 식물이 스스로 잘 성장해 나가듯이 교육도 아동이 가진 잠재 가능성을 자연스럽게 실현하는 과정으로 교육을 비유하였다. 마지막 대안적 비유는 3가지가 있다. 첫째, 교육을 예술가(교사)가 예술 작품(학생)을 만들 때 재료의 성질을 고려해서 작품을 만드는 것으로 비유한 예술의 비유가 있다. 둘째, 미성년자가 성년식을 거쳐 어른이 되고 부족사회의 일원이 되는 것처럼 학생을 ‘문명화된 삶의 형식’ 즉, 인류의 문화유산에 입문시키는 것에 비유한 성년식의 비유가 있다. 셋째, 교육을 교사와 학생의 인격적 만남을 통해 이루어지는 단속적이고 비유적인 성장 과정으로 보는 만남의 비유가 있다.
3. 교육의 대표적 정의
교육의 대표적 정의로 정범모의 교육 개념과 피터스(Peters)의 교육 개념이 있다. 정범모는 교육을 조작적 정의로 풀어내었다. 조작적 정의란 추상적인 개념을 경험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속성으로 바꾸어 정의하는 것이다. 이에 기초하여 정범모는 교육을 “인간 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려는 과정”이라 풀이한다. 피터스(Peters)는 교육에 대한 정의로 성년식의 비유와 관련 있는 “가치 있는 활동에의 입문”, “공적 전통에의 입문”, “문화유산에의 입문”으로 정의했다.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 “교육의 개념 안에 붙박여 있는 세 가지 준거를 모두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가치 있는 활동 또는 사고와 행동의 양식으로 사람들을 입문시키는 성년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여기서 초등 임용고시에 출제된 적 있었던 피터스의 교육 개념의 세 가지 준거가 중요하다. 세 가지 준거는 가치 있는 것을 전달한다는 ‘규범적 준거’, 교육은 전인적 교육이어야 하지 훈련이어서는 안 된다는 ‘인지적 준거’, 도덕적으로 온당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과정적 준거’가 있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학주의 교육 – 인문적 · 사회적 · 감각적 실학주의, 코메니우스 (0) | 2022.11.30 |
---|---|
그리스의 교육 사상가 -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0) | 2022.11.30 |
교직관 - 성직관, 노동직관, 전문직관 (0) | 2022.11.29 |
다문화 교육 -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목표, 영역, 유형 (0) | 2022.11.29 |
전인교육 - 전인적 교육의 개념, 필요성, 구현방안 (0) | 2022.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