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계몽사상과 자연주의, 로크(Locke), 루소(Rousseau)의 교육사상

by 교육학 추월차선 2022. 12. 1.

1. 계몽사상과 자연주의 교육사상

계몽의 시대라 불리는 유럽의 18세기는 시민계급의 성장으로 귀족들만 누리던 특권이 정당한 것인지 의문이 제기되고, 자유와 평등이라는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주장하는 계몽사상이 싹트고 여러 혁명들로 결실을 맺었던 시대다. 계몽주의는 인간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이성(주지주의적 경향)을 최고의 원리로 삼아 자유롭게 사고하고 연구하여 지식을 증진하고 보급함으로써 기성의 모든 권위와 전통(ancient regime)을 비판하고 바로잡아 보다 합리적인 사회를 건설하려는 사상이다. 계몽사상은 자연주의 교육 사상 출현을 위한 도약대 역할을 했다. 자연주의는 계몽사상의 지나친 합리주의와 주지주의적 경향에 반발하여 인간의 감성을 중요시하고 전인교육을 강조하는 교육사상이다. 자연주의는 ‘자연에 따라 교육한다.’는 것을 최고의 목적으로 삼는다. 이때 ‘자연에 따라 교육한다는 것’의 의미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의미는 자연을 관찰하여 법칙을 발견하고 그것을 교육의 과정에 적용한다는 뜻으로 코메니우스가 주장한 자연주의가 주로 이런 의미이다. 두 번째 의미는 인간 발달의 자연적 법칙을 발견하여 이에 따라 교육한다는 뜻으로 인간을 교육하려면 인간의 자연스러운 성장과정을 이해해야 하며, 교육자에게 아동 발달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의 필요성을 환기시킨다. 세 번째 의미는 인간의 자연성을 존중하면서 교육한다는 뜻으로 아동의 자발성, 흥미, 본능을 그대로 인정하고 그 기초 위에서 교육한다는 의미이다. 루소의 교육사상에서 자연의 의미는 아동의 자연적 본성을 따르는 것을 의미하므로 두 번째와 세 번째 의미와 가깝다.

2. 로크(Locke)의 교육사상

로크는 「인간오성론」이라는 대작을 남긴 영국의 경험주의 철학자이다. 친구의 아들 교육문제에 대한 자문에 답하는 편지 형식으로 구상된 「교육론」을 저술하기도 했다. 로크에 의하면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건전한 인격을 형성하는 일이다. 이때 ‘인격’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지는데 ① 이성에 의해 자기를 통제할 수 있는 사람, ②르네상스에서부터 전통으로 내려오는 신사도, 즉 자진 복종, 명예 존중, 세련된 예의를 갖춘 사람을 뜻한다. 결국 로크에게 교육은 신체적, 도덕적, 지적으로 균형 잡힌 유용한 신사를 양성하는 일이다. 구체적 목표로는 덕(virtue), 지혜(wisdom), 품위(breeding), 학식(leaning)을 꼽는다. 로크의 교육적 공헌은 ‘인간오성론’에서 밝힌 인간 마음의 기원에 대한 설명으로 볼 수 있음 로크는 인간의 타고난 마음은 흰 종이처럼 텅 비어 있으며, 감각을 통하여 외부 세계를 경험함으로써 그 인상들로 차츰 채워지게 된다는 백지설을 주장했다. 로크의 심리학적 가설 중 ‘능력심리학’적 아이디어는 중세 이래의 형식도야설을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왜냐하면 교육 활동의 목적과 의미를 능력들을 훈련시키는 데서 찾음으로써 교육 내용이 갖는 실직적인 가치보다 훈련 도구로서 가치에 주목하게 했고 이 이유로 형식도야설을 타당화했기 때문이다.

 

3. 루소(Rousseau)의 교육사상

교육에 관한 루소의 초기 사상은 주로 로크의 견해를 따랐으며, 훌륭한 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국가교육체제를 주장한다는 점에서 백과전서파와 의견을 같이했지만, 점차 루소는 백과전서파의 감각주의적 유물론에서 벗어나 자연 주의적 인간관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루소는 ‘아동중심주의’의 교육사상을 강조한 「에밀」을 중심으로 볼 때, 루소의 교육사상은 인간의 ‘자연적 본성을 따르는 교육’이며 다음의 네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네 가지 요소는 ‘① 인간의 유전적 특징, ② 성별의 차이, ③연령별 차이, ④ 개인별 차이’이다. 네 요소에 대한 고려 위에 구상된 루소의 교육원리는 ‘자연인을 위한 교육’, ‘소극적 교육의 원리’, ‘연령별 차이에 따른 교육’, ‘아동 중심의 교육’ 등으로 개념화 가능하다. 이때 소극적 교육은 교사가 앞장서서 끌고 가는 식의 적극적 교육이 아니라, 아동의 자발적 성장을 뒤에서 밀어주는 식의 교육을 말한다. 이는 ‘아동중심주의 교육’과 교육의 비유 중 ‘성장의 비유’와 일맥상통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