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의미학습의 체계
오수벨이 주장한 유의미 학습은 새로운 학습 과제가 학습자의 인지구조와 관련되어 의미 있는 관계를 맺는 학습을 말한다. 학습이 학습자에게 유의미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논리적 유의미성이 있어야 하는데 논리적 유의미성(유의미가)은 학습 과제가 실사성과 구성성을 지닐 때 유의미성을 띈다. ‘실사성’은 하나의 과제를 어떤 방식으로 표현하더라도 그 과제가 지니고 있는 의미가 변하지 않는 성질을 말하고 ‘구속성’은 임의적으로 한번 맺어진 관계가 관습으로 굳어진 다음에는 그 관계가 다시 임의로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논리적 유의미가를 가진 학습과제와 학습자의 관련 정착 의미가 만나면 잠재적 유의미성(유의미가)을 갖게 된다. 이때 관련 정착 의미는 학습자의 인지 구조에 이전에 이미 형성되어 있던 것으로, 유의미학습 과정에서는 학습할 개념이 인지구조와 의미 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근거를 제공해 주며 파지 과정에서 개념의 의미가 머릿속에 기억되도록 해주는 의미이다. 이렇게 생긴 잠재적 유의미성을 지닌 학습과 유의미학습 태세를 갖춘 학습자가 만나면 심리적 유의미성(유의미가)가 생기며 이렇게 될 때 유의미 학습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의미학습 태세는 학생이 학습과제를 인지구조 속에 구성적이고 사실적으로 관련짓고자 하는 학습자의 성향을 의미한다. 유의미학습을 하면 좋은 점은 학습자가 학습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획득할 수 있으며 과제의 양과 시간에 제약을 덜 받는다는 점이다.
2. 유의미학습에서 인지과정과 선행조직자의 개념
유의미학습에서 학습을 위한 인지과정은 포섭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포섭은 새롭게 배운 개념이 학습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인지구조에 일체화되는 과정이다. 이 포섭은 종속적 포섭과 병렬적 포섭, 상위적 포섭으로 나눠진다. 먼저 하위적 포섭이라고도 불리는 종속적 포섭이란 포괄성이 높은 상위개념이 포섭자가 되어 그보다 낮은 하위의 개념이나 아이디어를 포섭하는 것을 말한다. 이 종속적 포섭은 파생적 포섭과 상관적 포섭으로 나뉘는데 파생적 포섭은 주어진 새 학습과제가 기존 인지구조의 구체적인 예시이거나 구체적인 파생물인 경우를 뜻하고 상관적 포섭은 주어진 새 학습과제를 익히기 위해 가지고 있던 인지 구조를 약간 수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피아제의 인지구조 이론과 비교하면 파생적 포섭은 동화와 유사한 개념이고 상관적 포섭은 조절과 유사한 개념이다. 다음으로 병렬적 포섭은 포괄성의 수준이 비슷하거나 동등한 학습과제 개념이 기존의 인지구조와 상호작용하는 동일 수준의 포섭이다. 상위적 포섭은 종속적 포섭의 반대 개념으로 포괄성이 낮은 개념 즉 포섭자가 그보다 상위의 아이디어나 개념을 포섭하는 것이다. 새로 부여받은 학습과제가 더 상위 개념이 견우에 해당한다. 선행조직자는 학습자에게 새 학습과제를 제시하고 학습하기 전 수업의 도입 부분에 먼저 제시하는 도입 자료를 뜻하는데 학습 과제보다 학생이 상상하기 쉽도록 추상적이고 좀 더 일반적이며 포괄적인 자료를 제시해야 한다.
3. 유의미학습의 설명식 수업 원리와 수업 모형
유의미학습을 활용한 설명식 수업의 원리 중 가장 중요한 3가지는 선행조직자의 원리, 점진적 분화의 원리, 통합적 조정의 원리이다. 선행조직자의 원리는 새로운 학습과제를 학습자에게 수업할 때 선행조직자를 제시하면 점진적 증진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는 원리다. 점진적 분화의 원리는 학습 내용을 학생에게 제시할 때에는 가장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것을 먼저 수업하고 그다음 점차 점차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의미로 분화되도록 하는 원리이다. 통합적 조정의 원리는 새로 배운 학습내용이 이전의 학습한 내용과 일체화되고 통합되어야 된다는 원리이다. 이를 활용한 수업 모형은 3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는 선행조직자를 제시하는 것이다. 실제 수업 내용을 떠올려 보면 학생들에게 학습목표를 제시하고 선행조직자를 제시하고 학습자가 선행조직자와 기존 개념을 잘 연결 지을 수 있도록 자극하고 동기를 유발해야 한다. 2단계는 학습과제와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그 내용은 학습과제의 구속성과 실사성을 분명히 해 논리적 유의미가를 획득하고 학습과제를 논리적 순서에 맞게 점진적 분화의 원리에 근거해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3단계는 인지적 조직을 강화하고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새로운 개념을 굳히는 과정을 거치고 수업 절차가 마무리된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교육철학사조 - 항존주의와 재건주의 (0) | 2023.01.04 |
---|---|
현대교육철학사조 - 진보주의와 본질주의 (0) | 2023.01.02 |
협동학습 2편 - 직소Ⅰ, 직소 Ⅱ모형, STAD모형, GI모형, co-op co-op모형 (0) | 2022.12.20 |
협동학습 1편 – 협동학습의 개념과 효과, 효과적인 이유, 협동학습의 원리 (0) | 2022.12.19 |
탐구학습 – 탐구의 의미와 탐구학습 특징, 절차. 주의사항과 교사의 역할 (0) | 2022.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