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협동학습 2편 - 직소Ⅰ, 직소 Ⅱ모형, STAD모형, GI모형, co-op co-op모형

by 교육학 추월차선 2022. 12. 20.

협동학습 (1)편에서 이야기 한 바와 같이 협동학습 (2)편에서는 주요 협동학습 모형을 알아보고자 한다.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을 위주로 직소 1, 2 모형과 STAD모형, GI모형, co-op co-op 모형에 대해 알아보자.

1. 직소(Jigsaw 1), 직소(Jigsaw 2)

직소 모형은 직소 퍼즐(Jigsaw puzzle)처럼 모둠이 분산되어 활동했다가 다시 모여서 활동하는 방식의 협동학습 모형이다. 이때 모둠안에서 구성원들이 서로서로 가르쳐주고 학습하는 모형으로 크게 모집단 활동과 전문가 집단 활동으로 구성된다. 직소모형의 절차는 먼저 5~6명정도로 집단을 구성하고 개인별로 전문 과제를 내준다. 학생들의 과제 수 만큼 집단의 구성원 수가 구성되고 학생들은 몇가지 작은 주제별로 질문 형식이 적혀 있는 전문과제를 받게 된다. 그 후에 각각 과제별로 다시 전문가 집단 별 모임을 가지고 그곳에서 협동 학습을 진행한다. 그리고 그 전문가 집단에서 찾은 전문 과제 질문의 답을 가지고 다시 모집단인 원소속 집단으로 돌아가고 서로서로 전문가 집단에서 학습한 내용을 가르치고 설명하는 시간을 가진다. 그 후에 학생들은 각자 자신의 학습 과제에 대해서 개인별로 평가를 받고 개인별 점수만 계산을해서 최종 점수를 산출한다. 하지만 여기서는 개인적인 과제에 대한 평가만 받기 때문에 자신의 필요가 끝나면 모둠원에게 협조적이지 않은 모습을 보이는 학생이 생길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서 나온 것이 바로 직소모형이다. 직소모형은 직소과 달리 전체 학생이 단원 전체의 내용을 접한 후 소집단 활동을 실시하고 집단 보상이 추가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전체 학생이 단원 전체의 내용을 먼저 학습하기 때문에 자신이 속한 전문가 집단의 과제가 아니더라도 일반 적인 학습 과제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고 다시 전문가 집단으로 흩어져 협동학습을 진행할 때에도 더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집단 보상을 활용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자신의 이익이 되지 않는 일이더라도 집단 보상이 있기 때문에 모둠 활동에 더욱 협조적으로 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2. STAD모형

STAD 모형은 다른 말로 성취과제분담학습모형혹은 모둠성취분담모형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의 슬래빈이 개발한 프로그램 중 하나이고 집단보상, 개별 책무성, 성공 기회의 균등이라는 세가지 원리가 기본적으로 내재되어 있다. 집단 보상은 일정 수준 이상의 성적을 성취했을 때 개인적인 보상 없이 집단에서 보상을 준다는 것이고 개별책무성은 집단의 성공이 각각 구성원 개인에게 달려 있고, 동료 간의 협력 없이는 성공할 수 없도록 만들어 놓은 것을 말한다. 성공 기회의 균등은 개인의 학업 능력과는 관계없이 최선을 다하면 얻을 수 있는 향상점수가 집단 점수에 함께 계산되기 때문에 모든 구성원이 팀에 공헌할 수 있는 균등한 성공기회를 가진다는 의미다. STAD 모형의 절차는 가장 먼저 교사가 단원 전체의 내용에 대해 개괄적으로 직접 교수를 진행하고 소집단 활동을 실시한다. 소집단 활동은 짝수로 구성해서 2자의 학습과제지와 2장의 답지를 나누어줘서 서로 짝지어서 학습하게 하고 개인별로 퀴즈를 치고 팀원은 이를 도와줄 수 없지만 개별 향상점수가 팀 점수에 들어가기 때문에 못하는 학생도 팀의 성공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가지게 된다.

 

3. GI모형, co-op co-op모형

GI모형과 co-op co-op모형은 둘 다 모둠 탐구모형인 것에서 전반적인 흐름이 비슷하지만 전체 주제를 먼저 배우고 소주제를 선택하냐 아니면 소집단별 주제를 바로 선정해서 전체에서 발표하냐 정도의 차이가 존재한다. 논술에서 어떤 모형인지 맞추는 문제가 나온다면 구분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먼저 GI모형은 모둠탐구모형, 집단탐구법이라고도 불리며 그 절차는 교사가 탐구주제를 제시하면 학생은 그 탐구 주제와 관련된 하위 주제를 선정하고 자신들이 소집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그 하위 주제를 탐구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각자 자기들어 어떤 역할을 맞을 것인지 역할 분담을 한다. 그리고 나서 소집단별로 정보를 모으고 조직하고 정보를 이해, 통합하 기위해 토론을 거치며 탐구를 실행한다. 마지막으로 각 집단은 전체 학급에 모여 발표준비를 하고 교사는 발표에 대한 평가기준을 제시해서 발표이후에 전체 학급에서 발표에 대한 토론을 진행한다. co-op co-op모형은 반대로 학습 전체가 학습할 주제를 토론 과정을 통해 직접 선정하고 학생들은 흥미에 따라 소집단을 구성해서 소집단 내에서 자신이 수행할 주제를 다시 선택하여 집단 과제를 완성한다. 집단을 나누고 집단 안에서 다시 소주제를 선택한다는 점이 GI와 차이점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