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탐구의 의미와 탐구학습의 특징
‘탐구’라는 용어는 영어로 나타내면 ‘inquiry’를 뜻하며, 이 말은 여러 동의어를 지니고 있어 문제 해결(problem solving), 발견(discovery), 혹은 자기 반성 사고(reflective thinkng)로 여러가지 의미로 통용되기도 한다. 보통 탐구란 지식을 발견하고 창조해 가는 탐구 과정, 방법을 의미하며, 이론·법칙·원리를 토대로하여 가설을 형성하고, 이 가설을 검증하여 새로운 사실을 얻는 일련의 순차적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탐구학습 모형은 학생들을 작은 과학자로 간주한다. 즉, 소박하지만 학생이 직접 가설을 설정하고, 이 가설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 과정을 계획한 후, 직접 실험을 수행하여 결과를 얻어 가설을 입증하는 단계를 거치기도 한다. 탐구학습 모형은 가설 설정이나 일반화와 같은 고차적 사고 수준을 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초등학교의 경우 저학년보다도 고학년 학생에게 더 잘 어울리는 모형이다. 하지만 초보적인 수준의 가설 검증은 교사의 적절한 안내가 수반된다면 초등학교 수준에도 적용할 수 있다.
탐구학습의 특징은 4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과학의 본질적인 과정인 가설 검증 절차를 체득하는 모형이다. 즉, 과학자가 연구하는 방법을 경험함으로써 과학적인 방법을 익힐 뿐만 아니라 과학 지식을 얻는 법까지 배우게 된다. 두 번째, 자료 수집 이전에 가설 설정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가설을 세울 수 있는 상당한 경험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세 번째, 실험 설계가 중요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네 번째, 변인을 찾아내고 변인 통제를 정확히 해야 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2. 탐구학습의 절차
탐구학습의 절차는 ‘문제의 발견 및 인식’, ‘가설 설정’, ‘자료 수집을 위한 실험 설계’, ‘자료 수집 및 처리’, ‘자료 해석 및 가설 검증’, ‘잠정적인 결론 및 일반화’로 총 6단계에 걸쳐 순서대로 진행된다.
① 문제의 발견 및 인식 : 학생들이 스스로 경험하고 자료 탐색을 통하여 탐구할 문제를 파악하는 단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교사가 적합한 수준의 질문이나 안내를 함으로써 학습자의 문제 발견이나 인식을 도와줄 수도 있다.
② 가설 설정 : 제기된 문제에 대한 잠정적 답을 함께 충분히 논의하고 가설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③ 자료 수집을 위한 실험 설계 :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를 모으기 위해 실험하는데 그 실험의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단계이다.
④ 자료 수집 및 처리 : 변인을 통제하면서 실험을 하여 결과 검증에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⑤ 자료 해석 및 가설 검증 : 자료 수집 단계에서 얻어진 내용들을 분석하여 문제에 대한 잠정적인 해답, 즉 가설이 성립되는지의 여부를 판가름하는 단계이다.
⑥ 잠정적인 결론 및 일반화 : 검증된 가설들을 바탕으로 특정한 탐구 문제에 대한 잠정적인 결론을 내리거나 제한된 범위 안에서 일반화를 시도하는 단계이다.
3. 탐구학습 적용 시 주의사항 및 탐구학습을 위한 교사의 역할
탐구 학습 적용 시 주의사항은 학습 내용을 선택할 때 해당 학습 문제가 인과관계(cause and effect relation)에 따라 진술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또, 학생들이 가설을 잘 세우지 못하면 교사가 도움을 주고 가설이 잘못 세워져 검증할 수 없으면, 새로운 가설을 세우도록 옆에서 도와줄 필요가 있다. 시간의 제약을 받을 경우, 교사는 적절한 시점에서 발문 등의 방법으로 학생들이 탐구학습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탐구학습을 위한 교사의 역할을 정리하면 ‘다양한 자료 준비’, ‘학생과 함께 탐구하는 역할’, ‘새로운 방법을 안내하는 질문’, ‘내적인 보상을 위한 노력’, ‘가치문제에 있어서 공평성’이 있다.
① 다양한 자료의 준비 : 탐구수업을 위해서는 지도, 도표, 그림, 슬라이드 등 다양한 자료를 준비해야 한다.
② 학생과 함께 탐구하는 역할 : 학생이 발견적 에피소드를 통해 문제에 직면하면 교사는 결론적이고 절대적인 답을 주지 않으면서 학생과 함께 탐구하는 동료로서 조력자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③ 새로운 방법을 안내하는 질문 : 교사의 주요 임무는 수준에 맞는 적절한 질문을 해서 탐구의 과정을 유도하는 것 이외에 문제점을 보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하는 질문을 해야 한다.
④ 내적인 보상을 위한 노력 : 외적 보상보다는 내적 보상이 토론에 대한 더 많은 참가, 학습을 위한 열성, 더 많은 융통성을 유발하기 때문에 내적 보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⑤ 가치문제에 있어서 공평성 : 교사는 가치의 문제를 안내할 때 명확한 자기 의견을 밝혀서는 안 된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동학습 2편 - 직소Ⅰ, 직소 Ⅱ모형, STAD모형, GI모형, co-op co-op모형 (0) | 2022.12.20 |
---|---|
협동학습 1편 – 협동학습의 개념과 효과, 효과적인 이유, 협동학습의 원리 (0) | 2022.12.19 |
토의법(2) - 원탁토의, 배심토의, 공개토의(포럼), 단상토의, 세미나, 버즈토의 (0) | 2022.12.08 |
토의법(1) - 목적 및 일반적 절차, 장단점, 고려사항 (0) | 2022.12.08 |
교수방법 – 강의법, 문답법 (0) | 2022.12.07 |
댓글